도서 43

다라니, 진언(주문)이란 무엇인가

불교경전이 중국으로 전래되면서 한자어로 번역되었지만, 진언(주문)은 소리나는 그대로를 한자를 빌려서 표현하였다.   진언을 번역하지 않고 소리의 음을 그대로 옮긴 이유를 들어보면-진언의 소리에는 일정한 파장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있는데, 뜻으로 번역하면 소리가 달라져 에너지의 힘을 살릴 수 없기 때문임-따라서 뜻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음-진언에 담긴 의미는 매우 복합적이여서 하나의 의미로 번역하기 어려움   따라서 주문(진언)이 주력(呪力이) 되기 위해서는주문을 통해 마음을 통일하여 내가 바뀌고 나의 업을 변화시킬 수 있을 때, 물든 나를 바꾸어 가는 힘을 가질 때 비로소 주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업(業)이란 몸,입,생각(身口意)으로 지은 결과물이고, 현업(現業:현생에 지은 업)과 숙업(宿..

도서 2024.08.11

부처님의 일과

예전에 책을 읽으면서 성인들은 어떻게 하루를 보내는지 궁금했던 적이 있다. 쌍윳따니까야를 보면서 부처님의 일과에 대한 내용을 보게 되어서 기분이 새로웠다. 니까야는 불교 경전에 사용되는 용어로, 주로 초기 불교 경전의 모음집을 의미하며,  "모음집", "부류", "집성"이라는 뜻을 지닌다. 쌍윳다니까야는 주제나 개념에 따라 경전들이 모아진 부류이고, 주제에 따라 분류된 짧은 경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 56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이 쌍윳다니까야에서 부처님의 일과를 살펴보면 부처님께서는 오전 6시에서 12시까지는 하늘 눈으로 세상을 관찰하여 뭇삶을 도와주고 탁발하고 대중들에게 설법을 하였다. 그리고 12시에서 오후 6시까지는 대자비삼매(大慈非三昧)에 들어 수행승이나 뭇삶들의 괴로움을 살피고 그들을 ..

도서 2024.08.09

화엄일승법계도란

예전의 가르침을 받았던 내용을 정리하면서... 이름에만 집착하는 무리들로 하여금 그 이름마저도 없는 참된 근원으로 돌아가게 하고자 함이다. 우선 개념을 정리하면화엄: 꽃으로 장엄하게 장식되어진일승: 법계(존재)에 작용하는 한결같은 이치, 흐름법계: 삼라만상 즉 존재도: 그림   1. 의미화엄일승법계도는 신라의 고승 의상(625~702)이 44세때(668년 7월) 당나라 지상사에서 화엄사상 요지를 210자의 간결한 시구로 축약한 글로, 54각이 있는 도인(圖印)에 합쳐서 만든 것이다.  제목명은 “꽃으로 장엄하게 장식된, 한결같이 흘러가는 법계의 모습” 이라는 뜻이며, 일승이란 법계에 작용하는 한결같은 흐름, 이치를 말한다.내용은 “절대 평등한 법성은 유정, 무정 등 일체를 초월하여 깨우친 사람이 아니면 ..

도서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