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2

풍수지리서인 금낭경(錦囊經)을 읽으며

산을 볼 때 분별심이 생기지 않았는데, 풍수지리서를 읽으니 산을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차별이 생기네.... 금낭경(錦囊經)   금낭경(錦囊經)은 중국 진(晉)나라의 곽박이 쓴 것으로 알려진 풍수지리서이며, 청오경(靑烏經)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지은 것으로 보며, 금낭경은 총 2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권은 기감(氣感)·인세(因勢)·평지(平支)·산세(山勢)·사세(四勢) 5편이고, 하권은 귀혈(貴穴)·형세(形勢)·취류(取類) 3편으로 총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감편(氣感編:기운기,느낄감,글편)葬者乘生氣也(장사지낼장,것자,탈승,날생,기운기,어조사야)장사를 지낼 때, 땅속에 흐르는 기운를 올라타게 해야 한다.五氣行乎地中(다섯오,기운기,다닐행,어조사호,땅지,가운데중)땅속에는 다섯 가지 기운(목화토..

도서 2025.02.08

풍수지리서인 청오경(靑烏經)을 읽다.

집이나 건물의 위치를 잘 선정하는 것에 정말로 중요해서 집을 지을 때 정말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예전에는 바람과 물로 인해 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건물은 단열이 되지 않았으며 물을 구하기 힘들었을 것이고, 바람과 물의 영향을 받아서 질병에 걸려기도 하고 살기도 어려워서 이러한 풍수지리가 나오고 의존하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우연한 기회에 풍수지리가와 같이 동행한 경험이 있었는데, 좋은 자리는 그냥 눈으로 보기에도 살기 좋았고, 흉지는 음습하고 차거운 느낌을 받았다. 흉지를 만드는 조건을 굴착기로 밀어버리서  바람의 방향도 바꾸고 따뜻한 햇빛이 드는 좋은 땅으로 바꾸면 되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이제는 매장은 드문지라 읽어보니 재미있었다. 청오경(靑烏經) '지리전서청오선생장경(地理全書靑烏先生葬經)'..

도서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