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볼 때 분별심이 생기지 않았는데, 풍수지리서를 읽으니 산을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차별이 생기네.... 금낭경(錦囊經) 금낭경(錦囊經)은 중국 진(晉)나라의 곽박이 쓴 것으로 알려진 풍수지리서이며, 청오경(靑烏經)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지은 것으로 보며, 금낭경은 총 2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권은 기감(氣感)·인세(因勢)·평지(平支)·산세(山勢)·사세(四勢) 5편이고, 하권은 귀혈(貴穴)·형세(形勢)·취류(取類) 3편으로 총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감편(氣感編:기운기,느낄감,글편)葬者乘生氣也(장사지낼장,것자,탈승,날생,기운기,어조사야)장사를 지낼 때, 땅속에 흐르는 기운를 올라타게 해야 한다.五氣行乎地中(다섯오,기운기,다닐행,어조사호,땅지,가운데중)땅속에는 다섯 가지 기운(목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