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하도(河圖),낙서(洛書),효(爻),괘(卦),십익(十翼)을 보다.

오대를 거닐며... 2025. 2. 22. 11:11

 

역경(易經)을 한번 읽을려니 보아야 할 자료가 많은 것 같다.  시간은 잘 가겠다.

 

1.하도(河圖), 낙서(洛書)

하도(河圖)란 중국 복희씨(伏羲氏) 때에, 황화에서 발견된 쉰다섯 점으로 된 그림으로 우주의 근원적인 질서와 변화의 원리를 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검은 점()과 흰 점()으로 55개가 배열되어 있다. 우주만물을 생성하는 기본이 되는 수로서 1, 2, 3, 4, 5를 생수(生水)라고 하고, 생수를 바탕으로 만물이 구체화되고 완성되는 과정을 상징하는 수로 6, 7, 8, 9, 10을 성수(成水)라 한다.

낙서(洛書)란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임금인 우왕이 낙수에서 발견한 거북이 등에 새겨진 45개의 점 무늬로서 우주 만물의 변화와 흐름을 나타낸다.

 

생수(生水) 1 2 3 4 5
성수(成水) 6 7 8 9 10
오행(五行)

 

하도(河圖)1~10을 더하면 총합이 55가 되고,

생수(生水) 1~55를 더하면 성수(成水)6, 7, 8, 9, 10이 된다.

 

생수(生水)에서 양의 수(홀수, 하늘의 수) 1,3,5를 더하면 9가 되고

생수(生水)에서 음의 수(짝수, 땅의 수) 2,4를 더하면 6이 된다.

   

2.오행(五行)

우주(공간과 시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성질을 다섯 가지(수화목금토, 水火木金土)로 분류한 것을 오행(五行)이라고 본다. 좀 더 자세하게 알려면 수나라 소길의 오행대의(五行大義)란 책을 보면 된다.

 

서경(書經)의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9가지 큰 법칙 중, 하나로서 오행에 대해서 처음 언급하였는데

 

五行(다섯오,다닐행)

오행(우주만물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기본 요소:水火木金土)이란 것은

一曰水(하나일,가로왈,물수)

첫째는 물,

二曰火(하나일,가로왈,불화)

둘째는 불,

三曰木(하나일,가로왈,나무목)

셋째는 나무,

四曰金(하나일,가로왈,쇠금)

넷째는 금,

五曰土(하나일,가로왈,흙토)

다섯째는 흙이다

水曰潤下(물수,가로왈,윤택할유,아래하)

물은 만물을 윤택하게 하며 아래로 흐르고,

火曰炎上(불화,가로왈,불꽃염,위상)

불은 뜨겁게 위로 타오르고,

木曰曲直(나무목,가로왈,굽을곡,곧을직)

나무는 굽어지고 곧게 뻗어나가는 성질이 있고,

金曰從革(쇠금,가로왈,좇을종,고칠혁)

쇠은 변형되고 새로워지는 성질이 있으며,

土爰稼穡(흙토,이에원,심을가,거둘색)

흙은 심고 거두는 성질이 있다.

潤下作鹹(윤택할유,아래하,지을작,짤함)

(물은)만물을 윤택하게 하며 아래로 흐르며 짠맛을 내고

炎上作苦(불꽃염,위상,지을작,쓸고)

(불은)뜨겁게 위로 타오르며 쓴맛을 내고

曲直作酸(굽을곡,곧을,지을작,실산)

(나무는)굽어지고 곧게 뻗어나가며 신맛을 내고

從革作辛(좇을종,고칠혁,지을작,매울신)

(쇠는)변형되고 새로워지며 매운맛을 내고

稼穡作甘(심을가,거둘색,지을작,달감)

(흙은)심고 거두며 단맛을 낸다.

 

3.효(爻), 괘(卦), 팔괘(八卦)

()는 주역의 기본 부호이며, 음효(陰爻:--)와 양효(陽爻:) 두 가지로 나눈다. 효가 3개가 모이면 ()라 부르고, 이렇게 3개의 효()인 괘()를 소성괘(小成卦)라 한다.

 

주역은 이러한 8개의 소성괘(小成卦)가 기본이 된다. 8개의 소성괘(小成卦)가 중첩이 되면 64개 대성괘가 된다. 즉 소성괘(小成卦)가 두 개 모여 대성괘(大成卦)라고 부른다. 아래쪽에 위치한 3개의 효를 내괘(內卦)라 하고 위쪽에 위치한 3개의 효를 외괘(外卦)라 한다. 그리고 내괘(內卦)를 하괘(下卦)라 하고 외괘(外卦)는 상괘(上卦)라 한다.

 

팔괘(八卦)8개의 소성괘(小成卦), [()], [()], [()], [()], [()], [()], [()], [()]을 말한다.

 

주역에서

()는 주역에서 양효(陽爻:)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양은 하늘을 상징하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의미를 지닌다.

()은 주역에서 음효(陰爻:--)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음은 땅을 상징하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양()은 구(), (--)은 육()으로 나타내기에 초효(初爻)를 초구(初九), 이효(二爻)를 육이(六二), 삼효(三爻)를 구삼(九三), 사효(四爻)를 육사(六四), 오효(五爻)를 구오(九五), 상효(上爻)를 상구(上九)로 읽는다.

 

효상(爻象:가로그을효,모양상): 각 효의 위치와 음양의 기호를 통해 효의 성격과 변화가능성을 나타냄.

효사(爻辭:가로그을효,말씀사): 각 효에 대한 설명을 말함.

 

4,십익(十翼)

십익(十翼)은 주역의 열 가지 해설서로  

-단전(彖傳) ,: 64괘의 괘사(각 괘의 의미와 상황을 설명)와 효사를 풀이한 해설서

-상전(象傳) ,: 64괘의 괘상(각 괘 모양의 개념을 설명)과 효상을 풀이한 해설서

-계사전(繫辭傳) ,: 주역의 철학적 의미와 원리를 설명한 해설서

-문언전(文言傳): 건괘와 곤괘의 괘사와 효사를 풀이한 해설서

-서괘전(序卦傳): 64괘의 순서를 설명한 해설서

-설괘전(說卦傳): 8괘의 상징적 의미를 설명한 해설서

-잡괘전(雜卦傳): 64괘의 대립되는 괘들을 함께 제시하여 괘의 의미를 설명한 해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