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산마늘 모종을 심기 위해....

오대를 거닐며... 2025. 4. 9. 14:19

임야에 산나물 모종을 심으려고 하니, 할 일이 많다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는 지리산 오대산 설악산의 고지대와 울릉도에 자생하고 있으며, 일본/중국/시 베리아 등에도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울릉도로 이주한 100여명이 겨울 동안 육지에서 가져간 식량이 떨어져서 굶어 죽는 상황에 처했을 때 눈을 뚫고 나온 산마늘 싹을 발견하고, 이것으로 겨울을 무사히 보낼 수 있었다고 해서 명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1.서식지

 -우리나라 내륙 산간지대와 울릉도

 

2.종    류

 -울릉 산마늘(울릉종), 내륙종 산마늘(오대종)으로 구분된다.

 

3.특    성

산마늘은 저온성 음지식물이며

.울릉종(대엽종)

- 적응성이 좋아 지역과 고도의 제한을 받지 않으나 서늘한 지역이 좋음

.오대종(소엽종)

- 표고 400m 이상의 고지대에 자생하며, 평지 재배가 어려우며 생육조건이 까다롭다.

- 마늘향이 강하고 식감이 울릉종보다 좋다고 한다.

 

4.재배환경

- 햇빛이 강한 곳이나 더운 곳 보다 고산지대 서늘한 지역이 생육이 좋고 하고현상이 늦춰짐

- 약간 그늘지고 습한 환경이 좋음

 

5.효능

- 자양강장(신체와 정신의 피로를 풀어주고, 기운을 회복)에 효과가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함

- 신장기능에 도움을 줌

- 소화를 촉진시킴

- 염증을 완하시킴

 

6.식용시기

-주로 3~5월에 잎, 줄기를 먹음

 

7.재배시 알아야할 점

-종자 파종에서 수확까지 4~5년 소요

-종자는 5~6월에 개화하여 7~8월에 결실

-3~4년생 이상이 되어야 개화를 함

-산마늘 잎을 수확할 때 가급적 줄기를 많이 남기는 것이 구근 비대에 효과적임.

-구근비대 시기는 개화가 40% 정도 때부터 왕성함

-수확시 줄기를 3~6cm를 남기고 수확을 하는 것이 구근비대에 효과적이며 시기는 개화가 약40% 진행되었을때 수확하는 것이 좋음.

 

8.번식방법

.종자번식

-결실된 종자는 채종후에 3~7일 정도 그늘에 말려서 껍질을 떨어낸 다음 너무 마르기 전에 파종

-8월말 이전에 파종

-9월중에 뿌리가 나오고, 해빙과 동시에 생육됨

-줄뿌림을 하거나 균일한 규격의 묘를 생산하기 위해 점파를 한다.

-2년 정도 재배 후에 옮겨 심음

-옮겨 심는 시기는 가을 또는 해동되는 시점이 좋으며,

-종구 3~4개를 한 포기로 하여 열간격 30cm, 포기 20cm 간격으로 깊이 3~5cm 정도로 심는다.

-종자는 채종 직후 90%, 채종 30일후 60%, 채종 60일후: 0% 의 발아율을 보인다.

.분구번식

-성묘의 경우 1년에 0.7~1개 분구가 되며, 오래된 포기는 15~20개 정도 분구되므로 3~4개주씩 분리하여 심거나 하나씩 나누어 심음

-모종은 3~4, 10~11월에 심는다.

 

 

9.모종가격(2025.4.1.기준)

-5년생: 주당 150원

-10년생: 주당 200원

 

10.참고사항

 : 강원도농업기술원자료(20031002산마늘재배기술개발시험.pdf)

가. 수확높이(날짜에 따른)

 농업기술원 자료를 보면, 수확시기에 따라 줄기의 높이를 다르게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5월12일: 수확높이 6cm

 -5월22일: 수확높이 3cm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점(강릉)  (0) 2024.09.05
음식점(화성시)  (0) 2024.08.26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1) 2024.08.21